본문 바로가기

<프로그래밍 언어>19

[프로그래머스] 자릿수 더하기 문제 설명 자연수 N이 주어지면, N의 각 자릿수의 합을 구해서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만들어 주세요. 예를들어 N = 123이면 1 + 2 + 3 = 6을 return 하면 됩니다. 제한사항 N의 범위 : 100,000,000 이하의 자연수 def solution(n): answer = 0 n = str(n) for i in range(len(n)): answer += int(n[i]) return answer 2022. 3. 6.
[Python] if~else 조건문을 이용해 3의 배수인지 확인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. # 퀴즈 : # 숫자를 입력받아서 메세지를 출력하여라 (if ~ else) # 숫자값이 3의 배수이면 3의 배수이다. # 그렇지 않으면 3의 배수가 아니다. n = int(input()) if (n%3 == 0): print("3의 배수이다") else: print("3의 배수가 아니다.") 2022. 3. 4.
[Python] 문자열 포맷팅 2 문자열 포맷팅(String Formatting) 문자열 내에서 서식에 맞추어 특정 값을 삽입 또는 변경한다. 기호 % 뒤에 있는 값이 문자열 내의 서식에 순서대로 매핑 print("%8s" % "hello") print("%-8s" % "hello") hello hello 두번째 문자열 포맷팅 방식은 {} 포맷 이다. 다시 정리하자면 문자열 포맷은 문자열 내에 어떤 특정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이고 {} 안의 값은 index 를 활용하여 출력 순서를 정할 수 있고 .format() 변수를 이용하여 출력될 value를 정할 수 있다. 인덱스 index는 리스트 처럼 문자 하나하나 주소가 있고 이 주소를 이용하여 할당된 문자를 가져올 수 있다. print("{index1:style1} {index2:style2.. 2022. 3. 2.
[Python] 문자열 포맷팅 문자열 포맷이란 문자열 내에서 어떤 특정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. % 서식 이용 print("%stule1 %style2" % (value1, value2)) %가 value 1의 값을 style1 으로, value2의 값을 style2로 변화시킨다. %d 는 10, 100 같은 정수 %f 는 0.5, 1.0 같은 실수 %c 는 "한" 같은 한 글자 %s 는 "안녕: 같은 두 글자 이상인 문자열 age = 19 userName = '홍길동' mailing = True # 학생 정보 나이 => 19 이름 => 홍길동 메일링 => True print('학생 정보 ', '나이 => ', age, '이름 => ', userName, '메일링 => ', mailing ) print('학생 정보 나이 =>.. 2022. 3. 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