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자열 포맷이란 문자열 내에서 어떤 특정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.
% 서식 이용
print("%stule1 %style2" % (value1, value2))
%가 value 1의 값을 style1 으로, value2의 값을 style2로 변화시킨다.
%d 는 10, 100 같은 정수
%f 는 0.5, 1.0 같은 실수
%c 는 "한" 같은 한 글자
%s 는 "안녕: 같은 두 글자 이상인 문자열
age = 19
userName = '홍길동'
mailing = True
# 학생 정보 나이 => 19 이름 => 홍길동 메일링 => True
print('학생 정보 ', '나이 => ', age, '이름 => ', userName, '메일링 => ', mailing )
print('학생 정보 나이 => %d 이름 => %s 메일링 => %s ' % (age, userName, mailing))
'<프로그래밍 언어> > [Python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수박수박수박수박수박수? (0) | 2022.03.06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자릿수 더하기 (0) | 2022.03.06 |
[Python] if~else 조건문을 이용해 3의 배수인지 확인 (0) | 2022.03.04 |
[Python] 문자열 포맷팅 2 (0) | 2022.03.02 |
[Python] escape code 이스케이프 코드 (0) | 2022.03.01 |
댓글